최종 업데이트일2024. 5. 17
KEEP 소개
-
학교 → 노동시장 진입과정에 대한 자료 수집
청소년이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기간 동안 진로와 고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교생활, 가정생활, 여가생활, 진로, 근로 경험에 대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합니다.
-
학교교육, 진로교육, 청년고용정책 수집에 활용
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정책과 진로교육정책, 청년고용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하는 데 활용합니다.
-
다음세대를 위한 교육 및 고용생태계 조성에 기여
이렇게 만들어진 교육 및 고용 정책을 통해, 다음 세대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, 가치관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직업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.


조사연혁
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(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: KEEP): 2004~2015
- (목적)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진입 과정에 대한 자료 수집
- (대상) 2004년 1차 조사: 중학교 3학년 코호트 2,000명,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4,000명
※ 추후 4차년도 중학교 3학년 코호트 추가패널 1,500명 및 7차년도 비교코호트 보정패널 757명 추가 조사
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(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Ⅱ: KEEPⅡ): 2016~
- (목적) 한국교육고용패널의 후속 조사로 학교에서 노동시장 이행 진입 과정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자료 구축
- (대상) 2016년 1차 조사: 고등학교 2학년 10,558명

조사 대상 및 방식
구분 | 조사 대상 | 조사 내용 | 조사 방식 |
---|---|---|---|
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(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: KEEP) |
학생 | 고등학교 생활, 사교육, 학업성취, 진로, 재학 중 근로, 대학생활, 교육·훈련, 현장실습, 구직활동, 일자리 특성, 직장경력, 가정생활, 여가생활, 일반적 특성 등 |
· 1~3차: 면접조사(PDA, 활용) · 4~12차: 면접조사(CAPI) |
학부모 | 가족구성원, 교육환경, 문화생활, 보호자, 경제활동상태, 가구소득 등 배경변인 |
· 1~3차: 면접조사(PDA, 활용) · 4차: 전화조사(CATI) |
|
학교(행정) | 학교 일반현황 |
· 1~3차: 면접조사(PDA, 활용) · 4차: 웹조사 |
|
담임교사 | 학생평가 및 담임교사 일반사항 |
· 1~3차: 면접조사(PDA, 활용) · 4차: 웹조사 |
|
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(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Ⅱ: KEEPⅡ) |
학생 | 고등학생생활, 학습 및 사교육, 현장체험, 재학 중 근로경험, 대학생활, 대학 입학 준비, 교육훈련, 자격증, 구직활동, 일자리 유무, 일자리 지속 여부, 주된 일자리 특성, 취업 의사 및 준비, 경험 일자리(직장, 사업), 가정생활, 여가생활, 진로계획, 및 직업의식, 일반적 특성 등 |
· 1차: 집단면접(CAPI, PAPI) · 2차이후: 면접조사(CAPI) |
학부모 | 가구원, 교육환경, 문화생활, 보호자, 가구 소득 및 지출 등 배경변인 |
· 1차: 종이 설문(PAPI) |
|
학교(행정) | 학교 일반현황 |
· 1차: 개별면접 종이 설문(PAPI) |
|
담임교사 | 학교평가, 학생평가, 담임교사 일반사항 |
· 1차: 개별면접 종이 설문(PAPI) |
- 한국교육고용패널 콘텐츠 문의처
- 동향·데이터분석센터 · 044-415-383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