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종 업데이트일2024. 5. 17
HCCP 소개
- 인적자본기업패널(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; 이하 HCCP)은 정부승인(통계청 승인번호 389003)을 받은 국가의 공식 통계
- HCCP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고용노동부가 협력하여 실시하는 조사
Ⅰ차 WAVE(2004~2018년) : 격년(2년) 단위로 조사하는 중장기 패널조사로 수행(완료)
- 2004년 : 설문지 개발, 표본 설계, 예비조사 등 수행
- 2005년/2007년/2009년/2011년/2013년/2015년/2017년 : 1~7차 본조사 실시
- 2006년/2008년/2010년/2012년/2014년/2016년/2018년 : 데이터 구축·제공, 제1~7회 학술대회 개최
Ⅱ차 WAVE(2019년~) : 매년 단위로 조사하는 중장기 패널조사로 수행(실시 중)
- 2019년 : 조사(설문지, 표본) 설계, 예비조사 수행, 제8회 학술대회 개최
- 2020~2023년 : 1~4차 본조사 실시, 데이터 구축·제공, 제9~12회 학술대회 개최
- HCCP는 표본 기업의 인적자원 정보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고, NICE평가정보㈜의 기업 재무정보와 특허청의 특허정보 등 부가적인 2차 데이터를 병합하여 기업 단위로 작성 및 제공하는 Linked-Survey-Secondary-Dataset
장점
HCCP 조사의 가장 큰 특징은 조사 기본단위가 ‘기업’이라는 점과 해당 기업 및 근로자를 함께 조사한다는 것
-
기업단위 패널조사
-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및 개발은 사업체 단위가 아니라 전사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‘기업’ 단위의 조사가 더 정확한 현실 파악이 가능함
- HCCP는 ‘기업’ 단위로 조사되는 소중한 패널조사 자료임
-
종단분석 기능
-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 및 개발의 연차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음
- 그 결과로서 인적자원 수준의 질적 변화를 중장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
-
기업과 근로자 연계분석
- 기업(본사) 조사와 함께 그 기업의 근로자들도 조사함으로써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노력이 근로자의 인적자본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음
- 기업이 인적자원 제도를 실시한 효과를 근로자 자료를 통해 검증 가능함
-
기업성과와 연계한 분석
- 설문 자료와 2차 자료 (재무자료, 특허자료)를 병합하여 분석하면 기업과 근로자의 인적자원 축적 수준과 개발 노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
조사설계
구분 | HCCPⅠ | HCCPⅡ | |
---|---|---|---|
기업 | 조사 모집단 |
· 한국표준산업분류(제9차 개정) 대분류 기준 6개 산업*에 속하는 기업체 가운데 종사자 100인 이상, 자본금 3억원 이상(단, 개인 기업과 공기업은 제외) * 제조업(C), 출판/영상/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(J), 금융 및 보험업(K), 전문/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(M), 교육서비스업(P), 예술/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(R) ※ HCCPⅠ 3차(2009) ~ 7차(2017)년도 기준임. |
· HCCPⅠ 3차(2009) ~ 7차(2017)년도의 모집단과 동일 · 한국표준산업분류(제10차 개정) 대분류 기준 6개 산업*에 속하는 기업체 가운데 종사자 100인 이상, 자본금 3억원 이상(단, 개인 기업과 공기업은 제외) * 제조업(C), 정보통신업(J), 금융 및 보험업(K), 전문/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(M), 교육서비스업(P), 예술/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(R) |
표본 |
· 표본추출의 기본 단위: 기업 · 목표표본: 500개 기업 · 기업 표본추출을 위한 층화변수 √ 산업(대분류 6개) √ 규모(100~299인, 300~999인, 1,000인 이상) · 표본은 층화변수에 의해 층화를 한 후, ‘기존 패널기업의 우선 배정’ → ‘탈락(망실) 기업의 표본 대체’ → ‘업종 제외기업과 추가 추출 기업의 신규 표집’의 단계 순으로 각 층별 표본추출로 선정 |
· HCCPⅡ의 기업 표본추출 및 표본 대체 방침은 HCCPⅠ 3차(2009) ~ 7차(2017)년도와 동일 · 패널조사로서의 특징을 감안하여 HCCPⅠ 3차(2009) ~ 7차(2017)년도 동안 지속적으로 조사된 기업들은 HCCPⅡ 1차(2020)년도 조사의 조사대상으로 우선 선정하였으며, 나머지 조사대상들은 표본추출 방침에 따라 선정 |
|
근로자 | 조사대상 |
· 팀 단위로 팀장 및 팀원을 산업별/기업규모별 선정 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여 조사 · 근로자 조사대상 선정 원칙 √ 제조업: 관리직(팀장, 팀원)과 생산직(감독자, 근로자) 조사 √ 금융업: 관리직(팀장, 팀원)과 서비스직(팀장, 팀원) 조사 √ 비금융서비스업: 관리직(팀장, 팀원)과 핵심 전문직(팀장, 팀원) 조사 · 산업 및 규모를 고려하여 조사대상 및 조사규모를 설정 |
· 직급과 상관없이 각 기업별로 무작위 계통추출을 통해서 조사대상을 선정 · 근로자 조사대상 선정 원칙 √ 팀, 직종, 직급 구분없이 인사담당자의 협조를 받아 계통추출이 기본 원칙 √ 기업의 사정에 따라서는 직급별, 직종별로 할당추출 실시 가능 · 근로자 조사대상자 수 √ 기업규모에 따라 조사대상자 수 상이 · 대표성을 높이고자 제한적이나마 패널화를 추진 √ 추적조사에 동의하는 근로자를 중심으로 추적조사 실시 |
조사내용
기업
구분 | 주요내용 | |
---|---|---|
홀수 차수 설문지 | A. 경영 일반 | 기업 일반, 경영환경 |
B. 인력 현황 | 채용현황, 선발 및 충원, 인력구조 | |
C. HRD | 교육훈련 전담조직 및 현황, 교육훈련 투자 및 성과, 교육훈련 계획 및 효과 | |
D. HRM | 평가, 보상현황, 보상제도, 노동조합 | |
짝수 차수 설문지 | A. 경영 일반 | 기업 일반, 경영환경 |
B. 인력 현황 | 채용현황, 선발 및 충원, 핵심인재 | |
C. HRD | 교육훈련 전담조직 및 현황, 교육훈련 투자 및 성과, 정부직업능력개발지원사업, 능력과 자격 | |
D. HRM | 직급과 조직변화, 보상현황, 퇴직지원 |
근로자
설문 영역 | 주요내용 |
---|---|
경력사항 | 입사 시기, 직급, 주요업무 |
HR부서평가 | HR 부서의 공헌도, 소통과 신뢰수준, HR인력의 전문성 |
기업 및 인력 경쟁력 평가 | 인적자원 역량, 내부프로세스 역량, 대고객 역량, 분야별 인력경쟁력 수준 |
교육훈련참여와 효과 | 종류별 교육훈련 참여여부, 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의견, 집체훈련참여기간, 교육훈련에 대한 의견, 비공식훈련 참여여부와 효과, 자기주도학습 참여여부와 효과, 교육훈련 참여 과정 |
숙련수준 | 입사당시 숙련수준과 현재 숙련 수준에 대한 자기 평가 |
자격증 | 취득 여부, 시기, 종류, 능력향상 영향, 활용 분야 |
직무성격과 이해 | 습득 기술의 범용성, 업무 예외성의 정도 |
조직과 구성원에 대한 평가 | 조직과 구성원의 적극성, 자율성, 신뢰, 기능적 유연성, 의사소통 |
기업문화 | 인재우대, 소통과 신뢰, 기업문화(혁신·관계·위계·시장문화 측정) |
직무만족, 조직몰입과 스트레스 | 일·임금·인간관계에 대한 만족도, 이직의도, 충성도, 직무 스트레스 |
고용 및 근로조건 | 정규직여부, 근로시간, 임금수준 |
개인 신상 | 성별, 연령, 혼인여부, 학력, 전공계열 |
조사결과
조사 결과 및 DATA는 조사실시연도 기준 익년 12월에 공표
기업
구분 | 종업원 규모 | 총합 | ||
---|---|---|---|---|
100-299인 | 300-999인 | 1,000인 이상 | ||
제조업 | 255 | 111 | 26 | 392 |
금융업 | 7 | 12 | 7 | 26 |
비금융 서비스업 | 45 | 30 | 7 | 82 |
합계 | 307 | 153 | 40 | 500 |
근로자
구분 | 종업원 규모 | 총합 | ||
---|---|---|---|---|
100-299인 | 300-999인 | 1,000인 이상 | ||
제조업 | 4,660 | 2,178 | 531 | 7,369 |
금융업 | 147 | 221 | 174 | 542 |
비금융 서비스업 | 867 | 577 | 157 | 1,601 |
합계 | 5,674 | 2,976 | 862 | 9,512 |
- 인적자본기업패널 콘텐츠 문의처
- 동향·데이터분석센터 · 044-415-516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