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학력보다 실력 중심 정책으로 개인 삶의 만족도까지 높여야.....” - 직능연, 한국 노동시장 내 미스매치와 직장과 삶에서의 만족도 분석 □ 한국 노동시장은 높은 교육열과 학력 과잉으로 인해 상당수의 고학력자가 자신의 교육 수준보다 낮은 직무에 종사하고 있다. ○ 한국직업능력연구원(원장 고혜원)은 6월 30일(월) 계간지 『THE HRD REVIEW 28권 2호 조사․통계 브리프(‘한국 노동시장 내 미스매치와 직장과 삶에서의 만족도’)』를 통해 국제성인역량조사(PIAAC :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) 2주기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직장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. ※ 국제성인역량조사(PIAAC) :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 :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)에서 주관하는 국제 조사로써 16~65세 성인 대상으로 역량을 비교 평가 □ 주요 분석 결과(붙임 조사‧통계 브리프 참조)는 다음과 같다. ○ 국제성인역량조사(PIAAC) 결과, 한국은 대부분의 기술 영역에서 역량(스킬)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평균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보였다. - 그러나 일부 핵심 역량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며,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의사소통 및 발표 능력이었다. 이 영역에서 한국 응답자의 33%가 부족을 호소했는데,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평균(26%)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이며, 한국 직장 내 소통 환경, 자신감 부족과 같은 요인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. - 조사 결과에 따르면, 학력 과잉자는 평균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약 4%p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, 특히 미국, 이스라엘,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, 스위스에 이어 한국의 경우 8~12%p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 - 학력의 경우 직무 요구와의 일치가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반면, 역량(스킬)의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이 직무보다 높다고 인식될 때 만족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. 특히 역량(스킬) 부족 집단은 삶의 만족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, 이는 직무 스트레스, 불안정감, 낮은 자기효능감 등이 삶의 질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. <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에 따른 한국 노동자의 삶의> ※ 해당 그림은 첨부파일 내 그림 참고 ○ 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수현 부연구위원은 “이러한 상황은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이므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”라고 밝혔다. 특히, “이를 위한 직무 기반 채용 및 역량 중심 보상 체계 마련, 교육기관과 산업체 간 협력을 통한 전공 및 직무 연계 강화, 자기 계발 지원을 위한 직장 기반 훈련과 중장년층 대상 맞춤형 역량 강화 교육 등이 요구되는 시점이다”라고 덧붙였다. (끝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