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“특성화고 교육, 학생 주체성 발달에 긍정적 작용 확인” - 직능연, 고등학생 6천여명의 초6부터 고2까지 학생 주체성 변화 분석 □ 특성화고 교육이 일반고보다 학생의 주체성 발달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 ○ 한국직업능력연구원(원장 고혜원)은 10월 30일(목) 『KRIVET Issue Brief 308호(학생 주체성 발달, 특성화고 교육의 기회와 도전)』를 발표했다. ※ 이번 분석의 대상은 고등학생 6,145명(특성화고 학생 928명(15.1%))으로, 이들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를 분석했다(한국교육개발원,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년~2020년). ※ 학생 주체성은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‘주체적 마음가짐’, ‘주도적 행동’, ‘노력 지속’, ‘자원 활용’ 등을 측정했다. □ 주요 분석 결과(붙임 KRIVET Issue Brief 308호 참조)는 다음과 같다. ○ 고등학교 1학년 시점부터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‘주체성’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, 학생 주체성 발달에 대한 특성화고 교육의 긍정적 효과가 확인됐다. -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학생 주체성을 살펴보니, 고등학교 1학년을 기점으로 차이가 줄었다. - ‘주체적 마음가짐’과 ‘주도적 행동’에서 상대적으로 격차가 크게 줄었다. - 특성화고 학생의 ‘노력 지속’은 고등학교에 진입하면서 다른 학교 유형의 학생들보다 빠르게 회복했고, ‘자원 활용’은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사이에 차이가 커졌다. - 특성화고 교육이 학생 주체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측면을 시사한다. <그림2> 학생주체성의 종단적 변화추이(인구통계학적 변인+중1성적 통제) ※자세한 그림은 첨부파일 참조 ○ 특성화고 여학생은 ‘행동’, 남학생은 ‘마음가짐’ 측면에서 더 주체적이었으며, 가구소득과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주체성도 높았다. - 성별에 따른 ‘주체적 마음가짐’과 ‘주도적 행동’을 살펴보면, ‘주체적 마음가짐’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. 다만, ‘주도적 행동’은 고등학교 진입 이후부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. - 가구 소득이 높고,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‘주체적 마음가짐’과 ‘주도적 행동’ 모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. - 지역별로는 특별시와 읍면 지역 학생들이 중소도시 학생보다 주체성 수준이 높게 조사됐다. ○ 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이수현 부연구위원은 “특성화고 학생들의 주체성이 고등학교 시기에 회복되는 양상이 관찰됐다”며 “진학과 취업 과정에서 주체성이 억제되지 않도록 학교 문화 쇄신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”고 말했다. (끝) |